본문 바로가기
자격증/기계안전기술사

[8.] 재해통계와 재해율(★★★★★)

by 고무다라 2022. 4. 20.
반응형

기출문제

99-1-11. 재해통계의 목적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
93-1- 1. 재해통계에서 강도율을 쓰고, 재해손실일수와 연근로시간수의 산출방법을 설명하시오.

87-3-3.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재해통계(재해율)의 종류 4가지를 설명하시오.

84-1-13. 연천인율, 도수율, 강도율, 종합재해지수를 간단히 설명하고 식을 쓰시오.

78-1-8. 도수율강도율을 설명하고 공식을 간단히 쓰시오.

75-3-6. 우리나라의 1년간 발생된 산업재해의 도수율이 3.5, 강도율이 2.5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.

. 환산도수율과 환산강도율을 구하고, 의미를 설명하시오.

. 재해통계에 사용되고 있는 도수율, 강도율, 환산도수율, 환산강도율의 정의와 계산식을 쓰시오.

71-1-9. 도수율강도율의 공식을 적고 설명하시오.

68-1-4. 도수율강도율의 의미를 공식으로 설명하시오.

63-1-1. 도수율강도율의 공식을 기술하시오.

63-2-6. 어떤 사업장의 X부서와 Y부서의 재해율은 아래표와 같다. 각 부서의 Safe-T-score를 계산하고, 안전관리 측면에서의 심각성 여부에 관하여 간단하게 서술하시오.

년도 구 분 X부서 Y부서
‘96 사 고 10 1,000
근로총시간수 10,000인시 1,000,000인시
빈 도 율 1,000 1,000
‘97 사 고 15 1,100
근로총시간수 10,000인시 1,000,000인시
빈 도 율 1,500 1,100

재해통계와 재해율

반응형

댓글